부동산 관련 세금
손자에게 상속하면 상속세 30% 할증되요
재산을 상속해 주고자 할 때 아들이 나이가 많거나 똑똑하지 못하여 재산을 지킬 능력이 없으면 손자가 상속을 받도록 유언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세대를 건너뛰어 손자에게 상속을 하게 되면 아들에게 상속할 때보다 30%를 할증하여 상속세를 부과한다.
이유는 정상적인 상속을 하게 되면 아들에게 상속을 할 때 상속세가 한 번 부과되고 아들이 손자에게 상속할 때 또 다시 상속세가 부과되지만,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상속을 하면 상속세가 한 번 밖에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할증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속이 개시되기 전에 아들이 사망하여 손자가 아들을 대신하여 상속을 받는 대습상속(代襲相續)인 경우에는 세대를 건너 뛴 상속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할증과세를 하지 않는다.
반면 상속이 개시된 후 10년 이내에 상속인이 사망하여 다시 상속이 개시된 때에는 재상속기간에 따라 100%에서 10%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속인이 나이가 많거나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할증과세를 받더라도 세대를 건너 뛰어 상속을 해 주는 것이 유리한지 아니면 정상적인 상속을 하고 단기재상속에 대한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 유리한지를 비교해 보고 유리한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나 세대를 건너 뛴 상속에 대한 할증과세는 상속세 산출세액이 있는 경우에만 적용되므로 상속재산이 많지 않아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하다면 세대를 건너 뛴 상속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위 내용에 대한 문의는 국세청 종합상담센터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국세청종합상담센터( http://call.nts.go.kr ☎ 1588-0060 )
'부동산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과 관련된 법률상식! 간단히 살펴보세요 (0) | 2007.01.30 |
---|---|
2007년부터 달라지는 양도소득세 (0) | 2007.01.23 |
양도세 실거래가로 과세되는 「부동산 거래신고 의무제도」 (0) | 2007.01.09 |
어차피 신고해야 할 것이라면 10% 세액공제라도--국세청 펌 (0) | 2006.12.27 |
특정기간에 취득한 신축주택! 양도세 면제돼요 (0) | 2006.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