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의 재배양식
1. 재배양식 보리의 재배 양식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가장 뚜렷이 구별되는 것은 파종양식이다. 보리의 파종 양식은 크게 조파와 산파로 구분되며 조파 양식이라도 조간과 파폭의 변화가 심하고 산파의 경우에도 지역에 따라 두둑너비와 고랑너비의 차이가 크다. 논보리의 파종방법에는 휴립광산파(120x90cm), 전면전층파트랙타 부착 평면세조파(25x5cm), 트랙타휴립세조파(150x120cm, 6열20x5cm), 배수가 양호한 지역에는 조파 혹은 협폭파(40x18cm) 등으로 재배되고 있다. 이와같이 다양한 보리의 재배양식이 보리 재배 기계화를 발전시키는데 큰 제약 요인으로 되고 있다. 맥류 파종양식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점파, 조파, 산파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점파는 종자의 3∼5립을 한곳에 모아 파종하는 방법으로 종자의 균등 배치라는 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기계가 없고 인력으로는 파종 노력이 많이 들고 월동기간중 추운 지방에서는 얼어죽는 수가 있다. 과거의 다수확 재배법으로서 다주혈파가 있었다. 표 1. 관행파 재배와 세조파 재배의 수량 비교 (맥연 : 1989) |
도별 |
재배양식 |
파종 |
수수 |
일수립수 |
천립중 |
정곡수량 |
관행대비 |
전북 |
휴립광산파(관행) (150x120cm) 트랙타 부착 휴립 세조파 (150x120cm, 6열) |
24 16 |
594 633 |
42 56 |
30.2 30.5 |
579 666 |
100 115 |
전남 |
휴립광산파(관행) (140x110cm) 트랙타 부착 휴립 세조파 (150x120cm, 6열) |
15 14 |
516 664 |
44 40 |
30.2 29.1 |
309 362 |
100 117 |
경북 |
휴립광산파(관행) (150x120cm) 트랙타 부착 평면 세조파 (25x5cm) |
25 16 |
550 710 |
46 53 |
30.3 32.2 |
489 653 |
100 134 |
경남 |
협폭파(관행) (40x18cm) 트랙타 부착 평면 세조파 (25x5cm) |
20 14 |
475 611 |
58 55 |
32.2 30.8 |
448 621 |
100 139 |
평균 |
관행재배 세조파재배 |
|
|
|
|
456 575 |
100 126 |
조파는 휴폭이나 파폭 또는 파종방법에 따라서 보통재배법(관행파 60x18~30cm), 협폭파 (40x18cm) 도주간조파, 트랙타 부착 평면세조파 (25x5cm), 트랙타부착 휴립세조파 (150x120cm, 6열 20x5cm) 및 경운기 부착 평면세조파 (20x5cm)가 있다. 산파에는 휴립광산파 (150x120cm, 120x90cm), 전면전층파 등이 있다. 이상의 여러가지 재배양식중에서 다수확 재배에 알맞는 파종방법으로 세조파재배법이다. 표1에서 보는바와 같이 1978년경부터 세조파종기를 이용한 10여년간의 시험결과를 종합 투입하여 1988년 가을에 전남북, 경남북 4개도에 1개소씩 개소당10ha 이상의 대단위 집단재배 단지를 조성하여 재배한 결과이다. 집단재배단지에 이용한 파종기는 트랙타 부착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하여 전남북에는 휴립세조파 (150x120cm, 6열, 20x5cm) 재배 양식으로 파종하였으며 경남북에는 평면세조파(25x5cm)로 재배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10ha 단지내의 생육상태가 균등하게 재배할 수 있었고 수량증수 효과는 트랙타 부착 휴립세조파는관행재배인 휴립광산파에 비교할때 15~17% 증수되었다. 트랙타 부착 평면세조파는 관행재배 휴립광산파(150x120cm) 나 협폭파 (40x18cm) 에 비해 34~39% 증수되었다. 4개단지를 종합적으로 한 수량평균은 관행재배에 비하여 세조파 재배는 26% 증수되었다. 이와같이 평면세조파 재배가 휴립세조파 재배보다 증수율이 높은것은 평면세조파는 배수구가 없이 포장 전면적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면적당 수수 또는 립수가 많으면서도 천립중이 낫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되어진다. 세조파 재배는 토양중 일정한 깊이에 종자가 파종되므로 토양 수분 유지에 유리하여 발아율이 높아서 입모수 확보가 쉽고 포장 전면적에 개체가 균등하게 배치되어 동일량의 비료와 수분을 공급하더라도 양수분의 흡수와 태양광선의 이용율이 균등하여 개체의 생산능력이 극대화된데 그 원인이 있다 하겠다. 즉 군락피도가 100% 되는 시기가 어린이삭이 생기기 전으로 앞당겨져서 태양에너지 이용율이 극대화되고 잎이 중복되는 시기도 늦어져 태양광선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간이 길어져서 건물생산에 유리하기 때문이라 하겠다. 표 2. 보리 평면 세조파에 의한 다수확 재배효과 (맥연, 1982~1984) (단위 : kg/10a, 정곡) |
실시기관 |
1982 |
1983 |
1984 |
평균 |
증수율(%) | ||||
다수확 |
관행 |
다수확 |
관행 |
다수확 |
관행 |
다수확 |
관행 |
| |
맥류연구소 |
506 |
364 |
517 |
377 |
492 |
349 |
505 |
363 |
139 |
호남시험장 |
428 |
399 |
494 |
288 |
566 |
275 |
496 |
321 |
155 |
영남시험장 |
386 |
294 |
401 |
285 |
412 |
282 |
400 |
287 |
139 |
경기농진원 |
485 |
296 |
553 |
320 |
325 |
283 |
454 |
300 |
151 |
강원농진원 |
495 |
285 |
541 |
307 |
330 |
386 |
455 |
326 |
140 |
충북농진원 |
502 |
340 |
458 |
376 |
497 |
277 |
486 |
331 |
147 |
충남농진원 |
590 |
370 |
594 |
287 |
569 |
221 |
584 |
293 |
199 |
전북농진원 |
377 |
299 |
439 |
322 |
480 |
228 |
432 |
283 |
153 |
전남농진원 |
410 |
286 |
351 |
263 |
334 |
258 |
365 |
269 |
136 |
경북농진원 |
572 |
283 |
452 |
397 |
481 |
261 |
502 |
314 |
160 |
경남농진원 |
388 |
319 |
542 |
375 |
474 |
278 |
468 |
324 |
144 |
|
467 |
321 |
486 |
327 |
451 |
282 |
468 |
310 |
|
관행: 60x18cm 단, 호시만 120x90cm, 다수확 : 20-30x5cm 단, 영시, 강원 만 30x15-18cm 표 2에서와 같이 세조파로 보리를 파종하므로써 관행재배에 비하여 51%나 증수되었다. 2. 포장준비 보리 파종전의 경운작업은 앞작물 재배시 토양이 지나치게 굳었을 때 토양을 부드럽게 하므로써 보리생육에 알맞는 토양사이의 공극을 많게 하고 토양공기를 공급 하므로써 뿌리의 발달을 좋게 하며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즉 맥류가 발아하여 생육하기 위한 토대를 만드는 주요한 작업이다. 맥류는 포장에 직파되므로 토양상태에 의하여 발아나 생육상황이 달라지므로 경운과 정지는 정성을 들여서 작업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보리 관행재배에는 논에서는 경운후에 휴립, 밭에서는 경운후에 골을 만들고 파종하는 것이 많았으나 근래에 보리재배로서는 논에서는 무경운 휴립광산파를 하거나 벼 후작으로 벼 뒷그루 조간을 천경하고 도주간 조파를 하고 밭에서는 경운기로써 직접 작조한 후 직파하는 생력재배가 많았다. 최근에는 트랙타 부착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하여 로타리로 정지, 파종, 복토의 파종 일관작업 체계로 하는 생력화 재배가 많다. 보리재배에서 경운과 정지의 목적은 이미 발생되어 있는 잡초를 갈아 엎어 죽이고 앞그루의 베고 남은 포기등 잔존물을 흙속에 갈아엎고 토양을 팽연하게 하면서 고르게 하는데 있다. 정지되면 파종이나 시비 작업이 쉬울뿐 아니라 보리의 발아나 생육을 좋게 한다. 또한 경운과 정지를하므로써 토양중의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빗물을 보지하는 힘을 향상시키며 비료의 흡수력도 좋게 한다. 논에서는 환원층이 파괴되어 산화층으로 변하여 밭토양화를 돕는다. 경운과 정지를 실시하는편이 좋으나 최근의 보리재배는 생력기계화 측면에서 제초는 제초제 등으로 해결하고 또 경운과 정지에 의한 토양물리성의 개량은 토양중에 산소가 많은 건답이나 밭에서는 효과가 그리 크지 않다. 따라서 1년2작 또는 3작의 경우에 매번 경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는 많은 시험이 수행되었고 현재도 선진 여러나라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답리작의 경우에는 경운하지 않는것이 경운한것 보다 오히려 수량도 다소 증가하면서 파종 노력은 44%나 절감되었다. 그 이유는 무경운구가 경운구에 비해 토양물리성이 좋기때문으로 생각된다. 월동기간중에도 무경운이 경운에 비해 토양 공극율과 수분상태가 월동에 견디기 좋은 조건이기 때문에 생육조건이 유리할뿐 아니라 ㎡당 수수확보에도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경운을 한 곳에서는 뿌리의 발달이 좋지 못하여 땅이 부풀어 오르게 되고 뿌리가 들떠 말라 죽게 된다. 보리 생육기간 동안에 무경운과 경운상태에서 비가 많이 왔을 때에는 경운한 곳에서는 수분을 많이 간직할뿐 아니라 경운층의 작토밑에 점토의 피막이 형성 되어 빗물의 수직 배수가 불량하게 되어 습해의 피해가 있으며 가뭄이 계속될 때에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나 경운한 상태가 무경운에 비해 가뭄 피해를 받기가 쉽다. 보리의 근활력 또한 무경운구가 경운에 비해 높다. 무경운 상태가 물을 간직할 수 있는 입단이 많고 공극량이 크고 투수속도가 빠르고 근계의 기능과 발달이 좋다. 무경운은 토양표토를 유지하며 토양수분 저장력을 증가시키는 잠재력이 있으며 강수의 침투성이 빠른 이유는 무경운은 전작물의 잔유물이 토양표면을 보호하여 토양분산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경운작업은 쟁기, 또는 로타리를 이용하며 산성토양에는 경운전에 소석회 또는 농용석회를 살포하여 토양의 산성화를 개량하여야 한다.로타리경운을 할 때에는 파종부분 또는 고랑부분만 얕게 경운하는 경우가 있다. 부분경운은 건답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잡초의 발생이 많은 곳에서는 미리 제초제를 살포하여 제초하여야 하며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는 무경운 부분의 잡초가 그대로 자라서 파종후에 제초제를 살포하여도 완전히 죽지 않고 보리보다 생육이 왕성하여 제초작업에 어려움을 가져오게 된다. 로타리를 이용하는경우가 간단하나 잡초가 많을때나 앞그루의 부산물을 묻어버려야 할때에는 쟁기를 이용 경운하는 편이 유리하다. 그러나 또다시 로타리를 이용 쇄토, 정지작업을 해야 하기때문에 번잡스럽게 된다. 경운은 빨리하여 두어도 좋은경우가 있으나 가뭄이 계속될때에는 파종시기를 고려하여 토양수분에 손실이 없을때를 맞추어 하는것이 좋다. 최근에는 트랙타 부착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하여 휴립, 경운, 정지, 파종 복토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파종 일관작업 체계에 의한 파종법이 가장 좋은 파종방법이다. 3. 맥류 파종을 위한 논물떼기와 볏짚 처리 벼 수확후 포장이 과습할 경우 기계 파종이 어려우므로 보리를 파종할 논은 논토양의 특성을 고려하여 물떼기 작업을 적기에 실시하여 벼 수확을 마치고 바로 보리를 파종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콤바인 수확을 한 볏짚이 절단되어 깔려있는 논에서 휴립세조파를 할 경우 배수구를 만들어 주는 로타리날이 역회전하여 볏짚이 걸리므로 배수구 설치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고 보리 파종량을 조절하여 주는 지지 고무바퀴가 겉돌게 되어 알맞는 파종량 조절이 되지 않을뿐 아니라 휴립복토기에 볏짚이 말려서 볏짚이 모이고 파종된 종자를 한곳으로 몰리게 하며 파종심도 또한 불균일하게 되기때문에 파종전 볏짚이 과도하게 깔려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평면세조파 재배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로타리날이 표토를 5cm 깊이로 쇄토한 후에 종자를 3~5cm 정도 깊이로 파종하게 되는데 볏짚이 한군데 모여 있으면 볏짚과 토양이 섞인 덩어리가 군데군데 모이게 되어 정밀 파종 작업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콤바인 벼 수확작업에서 볏짚 처리는 보리파종을 위해 볏짚을 5cm로 절단한 후 파종하면 볏짚이 로타리날에 걸리지도 않으며 볏짚을 제거한 관행보다 수수도 많고 천립중도 비슷하며 수량도 2%정도 증수된다. 표 3. 볏짚 처리방법과 보리의 수량 (영시 '90) |
파종방법 |
볏짚처리방법 |
간장 |
수수(개/m2) |
1000립중 |
수량성 | |
정곡중 |
지수 | |||||
트랙타세조파 " " " 경운기광산파 " |
절단 절단+로타리 절단 제거 절단 제거 |
79 91 87 84 83 82 82 |
696 590 588 799 727 679 890 |
31.5 32.3 33.3 31.5 31.1 30.9 31.0 |
395 402 411 433 424 374 411 |
93 95 97 102 100 88 97 |
<참고문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9. 보리 재배 기계화에 관한 연구 박래경 1988. 작물재배의 신기술 (식량작물편) 농촌진흥청 1991. 밭작물 생력재배 작물시험장 1989. 주요작물 생력화 재배기술 심포지엄 발표요지 |
문의사항이 있으면 저에게 연락바랍니다. |
출처 : 제주농업기술센터 http://www.cheju.rda.go.kr/agrinfo/htm/agro21/CGI-BIN/BA020302.htm |
690-170 제주시 연동 313-80 TEL. 064-741-6532 FAX. 064-747-3171 |
'scrap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채소 새싹 길르는 법 (0) | 2006.08.17 |
---|---|
[스크랩] 텃밭 잡초 효과적으로 없애는 방법들 (0) | 2006.07.04 |
[스크랩] 콩알부자 김규복씨 콩농사 성공비결 (0) | 2006.06.23 |
[스크랩] 작물별 재배시기 (0) | 2006.06.23 |
[스크랩] 생매실 구입방법 (0) | 200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