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 재배기술
■ 재배 환경
가. 기 상
○ 내한성이 비교적 강하며 전국에 재배가 가능하나, 열매생산을 목적으로 재배할 때는 중남부 지방이 유리하다.
○ 재배 적지는 햇빛이 잘들고 통풍이 잘되는 곳이 좋다.
나. 토 양
○ 비옥도가 중정도인 사양토내지 식양토로서 배수가 양호한 곳이 좋다.
■ 품 종
○ 신품종으로 1997년도에 육성된 내충성이고 다수성인 『명안』 2000년도에 육성된 조숙, 대과 다수성 『불로』 중만생, 대과 다수성 『청대』 그리고 2004년도에 육성된 중생 대과 다수성『장명』 과 『청운』 이 육성되었다.
신품종의 특성
■ 번식방법 및 심는시기
○ 번식방법 : 삽목, 휘묻이, 분주, 종자 중 삽목이 제일 좋음.
○ 시기 : 3월 중순~3월 하순
○ 재식거리 : 120×40cm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성
○ 심는방법 : 비닐멀칭한 후 삽수를 45℃ 각도로 비스듬히 하여 땅위로 2∼3cm 올라오도록 심는다.
피복재료 별 수량성
■ 수분수의 혼식
일반적으로 구기자는 충매(꿀벌)에 의한 타가수분을 하며, 자가불화합성이 있다. 그러므로 동일 품종만으로 식재하면 수정이 안 되고 낙화한다. 안정적인 수량과 상품성이 높은 구기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분수의 혼식이 필요하다. 수분수로는 주품종과 친화성이 강하고, 개화기가 주품종과 같거나 다소 빠른 것이 좋으며 또한 주품종의 병해충 저항성 정도도 고려하여 선발하여야 한다.
수분수 혼식 효과
■ 시 비 량
○ 시비량은 유기질 퇴비 4톤/10a, 석회 150kg/10a 정도 넣고 비료 시용
구 분 |
시 비 량(kg/10a) | |||
계 |
기 비 |
1차 추비 |
2차 추비 | |
질 소(요소) |
40(87) |
24(52) |
8(17.4) |
8(17.4) |
인 산(용인) |
30(150) |
30(150) |
- |
- |
가 리(염가) |
30(50) |
21(35) |
9(15) |
- |
※ 토양의 비옥도에 따라 시비량 조절 : 토양검정 권장 ※ 유기질비료 시용시 비옥도에 따라 다르나 완숙 제조된 퇴비는 1.5∼2.0톤/10a 정도를 시용하고 우분인 경우는 3∼4톤 정도 시용 |
■ 관 리
가. 솎아주기
○ 한 주당 충실한 줄기수인 4∼5개만 남기고 솎음작업실시
줄기 수에 따른 수량성
나. 순지르기 및 유인
○ 1차 순지르기는 25∼30cm정도 자라면 5∼10cm정도 잘라주고 2차, 3차 순지르기는 25∼30cm정도 자랐을 때 끝 부분을 5∼10cm정도 잘라 줌.
○ 유인은 1차 적심 후 5m간격으로 지주를 세우고 줄을 매어서 늘어짐 방지.
■ 비 가림 재배
가. 비 가림 재배의 필요성 및 대책
○ 노지재배 시 탄저병 발생이 심함 ⇒ 수량감소 및 품질저하
○ 병해충 방제 노력 과다 ⇒ 생산비상승
○ 저 농약 고품질의 구기자 생산이 요구
○ 신품종으로 비가림 재배 확대 재배 ⇒ 수량 증수
나. 비 가림 재배의 문제점
○ 고온으로 인한 수정장애(36℃이상)⇒천창개폐 시설로 적정온도 유지
○ 관수시설의 미비 ⇒ 점적관수 시설로 적정 수분 공급
○ 충해발생도 노지와 비슷 ⇒ 적기 약제 방제
구기자 비 가림 하우스 재배 효과
■ 수목형 재배법
수목형재배는 구기자를 80cm이상 외대로 키워서 재배하는 방법으로 1차 년도에는 관행에 비하여 수량이 적으나 2차년도 이후부터는 수량이 월등히 많아져 3년 평균수량이 관행에 비하여 많이 증수된다. 수목형재배는 개화가 1개월 정도 빨라 수확 횟수가 많으며 탄저병 발생이 적고 수확기계 이용이 용이하다.
▶ 구기자 신품종 수목형재배 성공사례
☞ 성 명 : 청양군 운곡면 효제리 명영석(***-****)
☞ 신품종을 수목형재배(명안, 불로, 청대 등 혼식)
☞ 경제성 분석
농가별 |
년도별 |
면 적 (평) |
생산량 (kg) |
조수입 (천원) |
경영비 (천원) |
소 득 (천원) |
비 고 (10a당 소득) |
명영석 농 가 |
2003 |
400평 |
780 |
19,500 |
7,410 |
12,090 |
9,068천원 |
2004 |
500평 |
1,152 |
28,800 |
8,400 |
20,400 |
12,240천원 | |
충남농가평 균 |
2004 |
300평 |
232 |
5,790 |
1,563 |
4,227 |
4,227천원의 289%증대 |
■ 병해충 방제
가. 병 해
(1) 탄저병
구기자탄저병은 이병종자(罹病種子)나 병든 부위에서 균사체(菌絲體)의 형태로 월동하여 일차 전염원이 되고 이차 전염은 주로 바람과 빗물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7월 중순부터 9월 하순에 심하고 그중 8월 하순의 피해가 가장 큰데 특히 평균온도 25℃ 이상이고 3일이상의 연속 강우시에 발생이 많으며 질소질 과다시용 포장의 피해가 더욱 크다.
시기별 탄저병 발생 상황
구기자 탄저병은 주로 열매에 발생하는데 특히 미숙과일 때 발생이 많다. 미숙과의 병징은 그림 A와 같이 초기에 열매 끝이나 열매꼭지의 수분존재 기간이 긴 부위에서부터 검은 색의 병반을 형성하여 과 전체로 진전되면 말라서 미이라상(C)이 되며, 성숙한 열매의 병징은 아래그림 B와 같이 이병부위가 함몰되고 담황색의 포자퇴를 다량 형성하여 과 전체로 진전되면 말라서 아래그림 C같이 검은색을 띤 미이라상이 된다.
그런 병과를 습실 처리하면 그림 D처럼 열매전체와 엽병에 포자퇴를 형성하여 다량의 포자를 분출하는데 포장에서 이처럼 제 2차 전염원으로 포자를 분출하여 급속하게 전체포장으로 전염된다.
과실의 병해상태
대책으로
○ 흙살이 깊고 배수가 잘되며, 통풍이 좋은 적지에 재배한다.
○ 깊이갈이를 하고 유기물을 증시하여 땅심을 높인다.
○ 줄기를 일찍 베어내고 병든 잎과 열매 등 전염원을 깨끗이 긁어 땅속 깊이 묻거나 소각한다.
○ 질소질 비료시용을 줄인다.
○ 비가림 재배를 하면 탄저병의 발병요인인 수분을 차단하여 탄저병 발생을 막을 수 있다.
○ 구기자 적용 방제약제를 발병초인 6월말부터 비오기 전후 예방위주 방제한다.
가. 충 해
(1) 구기자 혹응애
구기자 나뭇잎, 과병 및 꽃받침 등을 가해하여 혹을 형성하고 내부조직을 식해하여 조기낙엽 및 조기 낙과뿐만 아니라 상품성을 저하시킨다.
피 해 |
성 충 |
구기자혹응애의 기주식물은 구기자나무, 까마중 및 고추 등이며 이동과 전파는 주로 물리적인 매개체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이동하지만 능동적으로도 이동을 하며 수동적 이동에는 바람의 영향이 가장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에 풍향이 이동과 전파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기자혹응애는 성충으로 월동한 후 년 6∼7회 발생하고 구기자혹응애 성충은 구기자나무의 새싹이 나오면 곧 새싹의 뒷면으로 식입하여 조직이 비대하면서 혹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5월 하순에 제1회 성충이 나타난다. 성충기간은 25∼30일이고 식입 후 6일 후부터 15일까지 산란하고 죽는다. 10일 이후부터는 부화하기 시작하여 성충과 유충에 의하여 피해가 커진다. 4월 하순 싹이 틀 때부터 10∼11월 낙엽이 질 때까지 잎에 피해가 발생하며, 월동 후 눈으로 모여 기생하고 5월부터 잎 표면에 혹이 발생한다.
월동 후, 즉 신엽이 발아하여 처음 나올 때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방제시기가 늦어질수록 방제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2) 왕담배나방
9∼10월에 주로 발생하고 구기자의 잎을 가해하지 않고 열매가 익어갈 때 유충이 열매를 파먹는 데 많은 수가 발생하는 경우보다 소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성충은 담배나방과 비슷하나, 담배나방은 앞날개에 콩팥무늬와 고리무늬가 뚜렷한데 비해 왕담배나방은 고리무늬가 없거나 희미하며, 갈색횡선사이에 7개의 유백색 무늬가 있어 구별된다.
뒷다리 종아리마디의 자모는 담배나방이 8∼9개, 왕담배나방은 11∼12개이다. 왕담배나방의 15mm 정도이며, 날개 편 길이는 35mm 내외로서 앞날개는 회황갈색이다. 더듬이는 채찍 모양이며, 뒷날개의 외연부는 검다. 성충은 발육온도와 기주식물에 따라 색채의 변이가 크다. 알은 직경 0.4mm 정도이고, 표면에 세로줄과 홈이 방사상으로 나 있다. 산란직후의 알은 황색이지만 부화가 가까워지면 황갈색으로 변한다. 부화 직후의 유충은 담갈색∼담녹색이나 2령이 되면 황갈색이 되고 중령 이후에는 보호색을 띠므로 몸색의 변이가 매우 심하다. 몸통의 털들은 담배나방보다 길고 털밑부분에는 혹모양으로 돌출한 검은 밑판이 뚜렷하다.
왕담배나방 유충
연 2∼3회 발생하며, 땅속에서 흙으로 고치를 짓고 번데기로 월동한 후 이듬해 5∼6월경 우화(羽化)한다.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1세대가 6월 중, 하순이며, 2세대는 8월 중, 하순이다.
교미한 성충은 교미 2일째부터 산란하기 시작하며, 성충의 수명은 10∼12일이다. 알은 신초 부위의 잎 앞면과 꽃봉오리에 낱개로 산란되며, 성충의 산란수는 400∼600개 정도이다. 알 기간은 4일, 유충기간은 13∼25일 정도이며 번데기 기간은 13∼14일 이나 20℃이하에서는 길어지고, 32℃이상에서는 여름잠을 자는 개체가 증가한다. 5∼7월의 1세대 유충은 거의 문제되지 않으나 8월 중, 하순 이후의 2세대 유충 발생에 주의해야 한다.
(3) 꽃노랑총채벌레
5월부터 발생하여 8월 고온기에 밀도가 최고되는 데 어린잎이 축엽되고 기형화되며 어린 꽃을 가해하여 갈변 낙화시킨다. 과실도 가해하는데 피해 과실은 갈색반점이 형성되고 심한 경우 과실이 썩어 떨어지게 되며 날카로운 입으로 상처를 내고 즙액을 빨아먹어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꽃노랑총채벌레 피해 및 성충
암컷 성충은 1.4∼1.7mm, 수컷 성충은 1.0∼1.2mm로서 밝은 황색을 띠고, 암컷은 식물 조직 내에 20∼40개의 알을 산란하며 27℃에서 4일 만에 부화되어 유충은 식물 표면에서 섭식한 뒤 토양 내에서 번데기로 되어 이른 봄부터 연중 가해한다.
(4) 열점박이잎벌레
4∼5월부터 유충이 몸에 점액질의 분비물로 위장하고 주로 순 부위나 부드러운 어린잎을 가해하며 구멍을 많이 남기고 발생이 많으며 대부분의 잎이 식해 당하여 줄기만 남는다. 성충도 잎을 가해한다. 기주 선호성이 뚜렷하여 구기자만 가해한다.
열점박이잎벌레 알, 유충
성충은 4.5∼4.8mm 정도로서 황갈색 날개딱지 위에 10개의 검은 점이 있다. 머리와 가슴은 검은 색을 띠며, 겹눈 옆에 한 개의 작은 적색무늬가 있다. 배 아랫면은 검은색이지만 배의 각 마디 끝부분은 황갈색이다. 다리는 검은색으로 넓적다리 기부의 1/2과 종아리마디의 중앙부는 갈색이다. 유충은 머리가 검고 몸은 회황갈색이며, 배쪽이 둥근 공처럼 생겼다. 유충은 어릴 때에는 모여 생활하면서 식물체를 가해하다가 점차 자라면서 분산한다. 알은 황색으로 길쭉하며 잎위에 2줄로 낳는다.
정확한 생태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년 3∼4세대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월초부터 성충이 가해하면서 산란하는 것으로 보아 월동은 성충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충은 4월 하순∼ 5월에 많이 발생하며, 다 자란 유충은 번데기가 된다. 유충 및 성충은 10월말까지 볼 수 있다. 한국, 중국북부, 시베리아동부, 일본에 분포한다.
■ 수확 및 조제
가. 수 확
○ 식재 첫해부터 수확되며 8월 상순부터 11월까지 수확한다.
○ 년간 6∼10회 정도 수확하며 전체 노동력의 84%가 수확노동력으로 소요된다.
○ 수확기계를 활용하면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절감 할 수 있다.
○ 비가 온 후에는 열과가 우려됨으로 적기에 수확하여야 한다.
나. 건조 및 조제
○ 수확한 열매는 반듯이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건조한다.
○ 건조방법은 양건, 화력건조, 열풍건조방법이 있으나 주로 열풍건조기를 이용 50℃에서 2시간, 60℃에서 26시간 건조시킨다.
건조방법에 따른 품질 비교
건 조 방 법 |
외 관 (1-10) |
품 질 |
관행 (60℃ 24시간) |
7 |
6 |
50℃ 2시간, 60℃ 26시간 |
8 |
8 |
구기자 등급 구분
등 급 항 목 |
상 |
중 |
하 | |
이형과 (크기가 다른 것 및 이 품종의 혼입) |
5% 이하 |
10% 이하 |
20%이하 | |
색 택 |
여름산 (검붉은 주홍색을 가지며 윤기가 뛰어난 것) |
여름산 구기자에 가을산 구기자의 혼입이 1% 이하인 것 |
여름산 구기자에 가을산 구기자의 혼입이 5%이하인 것 |
여름산 구기자에 가을산 구기자의 혼입이 10%이하인 것 |
가을산 (고유의 밝은 주홍색을 가진 것으로 윤기가 뛰어난 것) |
가을산 구기자에 여름산 구기자의 혼입이 1%이하인 것 |
가을산 구기자에 여름산 구기자의 혼입이 5%이하인 것 |
가을산 구기자에 여름산 구기자의 혼입이 10%이하인 것 | |
결점과 (부패, 변질과, 미숙과, 병해충과, 상해과) |
5% 이하 |
10% 이하 |
15% 이하 | |
수 분 (과실 추출물 잔량에 의하여 손으로 만졌을 때 찐득찐득하지 않고 늘어붙지 않는것) |
14% 이하 |
15% 이하 |
16%이하 | |
이물질 (구기자 외의 잎, 꼭지 등 불순물) |
0.1% 이하 |
0.2% 이하 |
0.5% 이하 |
■ 수확기 적응형 구기자 재배
가. 구기자 수확기의 개발
○ 구기자 수확기는 수확기와 수집기, 충전기, 배터리, 수집보조통으로 이루어져 있다.(특허 제0352278호, 2002. 8. 28)
구기자 수확기
나. 구기자 수확기의 수확능률
(1) 수확기의 수확능률
○ 관행수확 방법인 손으로 수확할 때 여자 1인이 1일 수확할 수 있는 양은 생구기자로 약 26kg이었으나 수확기를 사용하여 구기자를 수확한 결과 138kg을 수확할 수 있어 수확을 5.5배 더 할 수 있었다.
(2) 구기자 수확기 수확작업의 경제성 분석
○ 수확노력비를 보면 손수확이 1,920천원인 반면 기계수확은 325천원으로 기계구입비를 포함하여 노동력 절감액은 손수확에 비하여 년 1,335천원을 절감을 할 수 있었으며 기계구입 당년에도 295천원의 노동력 절감을 할 수 있다.
다. 구기자 수확기 적응형 구기자 재배관리
○ 수확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구기자나무의 수형을 수확기에 맞게 관리를 하여야 한다.
(1) 수확기 적응 재식방법
○ 구기자 심기는 1열로 심되 수량 감소를 보완하기 위하여 재식 1년차는 원줄기를 주당 3∼5개 남겨 수량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 2년차는 1∼2개/주, 3년차에서 주당 원줄기를 1개만 남겨 외대로 재배하면 수량감소를 막을 수 있다.
○ 외대로 재배하게 되면 수확기의 이동성이 양호하여진다.
(2) 첫 적심높이
○ 수확기 적응 첫 적심높이는 80cm로 높여 적심하고 결과지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 후년부터는 원줄기만 남기고 착과지를 모두 제거한 후 새순을 착과지로 유도하는 것이 좋았다.
(3) 유인방법
○ 수확기 적응 유인방법은 외대재배 후(2∼3년차) 80cm 높이에서 신초를 발생시켜 양갈래로 가지런하게 유인하는 방법이 가장 좋다.
○ 다 분지성 품종보다 소 분지성 품종이 수확기 활용에 용이하다.
○ 원줄기의 유인은 1주 1지주대로 유인하면 수확기의 이동성이 효율적이다.
(4) 두둑의 높이
○ 수확기 바퀴의 이동 및 수평유지를 위하여 10cm이하 두둑을 형성하면 수확기의 이동 시 수평유지에 좋다.
※ 10cm이상 높아지면 수확기 바퀴가 한쪽으로 쏠려 수평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되어진다.
(5) 비 가림 재배+수확기에 의한 고품질 생력재배 체계화 재배
○ 비 가림 재배 체계화와 구기자 수확기를 활용하면 고품질의 구기자를 저 비용으로 생산 할 수 있다.
라. 구기자 수확기의 효율적인 사용법
(1) 착과지를 3∼4등분하여 수확기날을 착과지와 직각이 되도록 갖다 대어야 하며 열매가 떨어지는 정도를 보아 잠시 동안만 수확기날을 대고 다른 곳으로 이동시킨다.
(2) 수확기날을 착과지에 대고 훑듯이 잡아당기면 잎, 꽃, 미숙과 등이 떨어지게 되므로 절대로 이렇게 하여서는 안 된다.
(3) 유인된 착과지가 땅바닥에서 10∼15cm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끝부분의 구기자를 수확하기에 좋다.
(4) 이랑폭이 수집기 폭(120cm)과 맞지 않을 경우 수집기 한쪽을 분리 제거한 후 사용하면 된다.
(5) 수확물은 노쇠엽, 진꽃잎, 미숙과, 기타 협잡물 등이 섞여 있으므로 큰그릇에 풀어놓고 물로 세척하면 성숙과는 밑 부분에 가라앉고 나머지는 뜨기 때문에 고품질의 구기자를 쉽게 선별 할 수 있다.
'scrap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추억의 도시락 반찬...어묵 감자조림. (0) | 2014.06.27 |
---|---|
[스크랩] 구기자재배 (0) | 2010.10.11 |
[스크랩] 막걸리 담는 요령 (0) | 2010.08.20 |
[스크랩] 고추재배-역병과 풋마름병을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0) | 2010.05.31 |
[스크랩] 귀농과 인맥관리 (0) | 201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