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취미생활

메밀농사법

by 농부22 2006. 8. 13.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자료----펌

 

1. 메밀의 파종준비

    가. 품종선택

      봄파종 : 여름메밀(양절메밀), 여름파종 : 가을메밀(대산메밀)

           

    나. 종자소독

      메밀 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씨앗 1㎏당 약제 벤레이트티 4g을 묻혀서 파종하여야 한다. 씨앗에 약제를 묻힐 때는 씨앗에 물기가 없도록 하여 건조한 씨앗에 소정량의 약이 골고루 묻도록 여러 번 되풀이하여 섞은 다음 씨뿌림하여야 한다.

           

    다. 메밀의 주요 윤작방식

    (1) 남부지방 논의 2모작 : 여름메밀-벼, 보리(밀)-가을메밀

(2) 중남부지방 밭의 2모작 : 보리(밀)-가을메밀

(3) 중부산간지방 밭의 2모작 : 봄감자-가을메밀, 봄배추-가을메밀

(4) 서북부지방 밭의 2년 3모작 : 밀-콩-여름메밀

(5) 새로운 작부체계 : 식용 옥수수-가을메밀, 여름메밀-가을채소, 여름메밀-조 생종벼, 여름담배-가을메밀.

           

  2. 파종방법

    가. 파종시기

      메밀 품종들을 재배 생태형으로 나누어 적합한 시기에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 대한 파종적기가 있다. 메밀재배에 있어서 이들 생태형에 맞는 파종기의 선정이 제일 중요하다. 가을메밀을 봄에 파종하면 개화는 되지만 결실이 안되어 거의 종실을 생산하지 못한다. 여름메밀품종 양절메밀은 수원에서 4월중하순 파종하면 5월 중하순에 개화가 시작되어 6월 상순 만개하면서 착립, 성숙하여 6월 하순 성숙기에 접어든다. 재배지역에 따라서 여름메밀 양절메밀은 봄 만상기 직후에 출아하여 생육할 수 있도록 파종기를 조절하여야 한다. 중남부 평야지역에서는 4월 상중순이 파종적기이다. 반드시 비닐멀칭재배를 하여 토양온도를 상승시켜 출아 및 초기생육을 촉진시키고 수분증발을 막아주어 적습토양을 유지시켜줌으로서 메밀 식물체의 유효 개화기간과 결실기간을 앞당길 수 있어 7월부터 시작되는 집중적인 우기이전에 수확 할 수 있다. 가을메밀의 파종적기는 수원에서 7월 중하순이다. 지역에 따라서 첫서리가 오기 전 10~12주전에 가을메밀을 파종해야 하다.

           

    나. 시비방법

      퇴비 1000㎏과 콩복비 25~50㎏/10a을 기비로 시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밀식다비 재배하면 도복이 심하고 너무 소식재배 하면 잡초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 재식방법

    산파재배에 비하여 세조파 밀식재배하는 것이 관리에 유리하고 수량성도 높다.

           

   

그림 1. 메밀기계화 파종(세조파기)과 기계수확(예도형 예취기) 광경

           

    라. 파 종 량

      파종량은 종자의 크기와 파종방법에 따라서 다르나 산파할 경우에는 충실한 종자 8㎏/10a, 일반 세조파(30㎝ 휴폭) 재배에서는 4~6㎏/10a이 적당하다. 발아와 출아를 양호하게 하고 토양의 영양분 흡수를 좋게 하여 식물체를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하여 파종전에 포장을 잡초가 없도록 하고 파종작업하기에 좋은 밭에서는 경운기부착 세조파기로 무경운 세조파하는 것이 유리하다. 파종깊이는 2~5㎝가 적당하다. 토양이 습할 때는 얕게 파종하는 것이 좋다. 파종깊이가 5㎝이상일 때는 입모율이 떨어진다.

           

  3. 재배관리

    도복방지 및 등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산파밀식 다비재배를 피하고 봄파종 여름메밀재배에서는 세조파 비닐피복 재배로 초기생육을 촉진시켜 우기 고온기의 도복을 막고 유효개화 기간과 등숙기간을 앞당기면서 길게 하여 등숙을 향상시켜 주어야 다수확할 수 있다. 붕사 엽면시용은 메밀의 종실착생을 증가시킨다. 메밀은 밀식 다비재배하면 도복이 심하므로 개화시까지 배토를 해주는 것이 대단히 효과적이다.

           

  4. 병충해 방제

    메밀재배에서 병해충의 피해는 심각하지 않다. 대기습도가 높을 때에 메밀잎에 흰가루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나 농약을 살포할 정도로 심한 경우는 없었다.거세미와 진딧물 등이 있으나 심하지 않다. 토양 병해충이 많은 밭에서는 토양살균 살충제를 파종 전에 살포하여 소독하고 메밀을 파종하여야 한다. 새의 피해도 있다. 특히 수확직전의 종실에 상당한 피해를 주고 있다. 사슴과 쥐도 메밀 포장에서 심각하게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다. 특히 메밀이 도복되었을 때에 심한 피해를 준다. 메밀은 생장이 빠르므로 잡초를 억제할 수 있으나 다습조건과 잡초가 많이 발생하는 환경조건에서는 메밀과 경합이 이루어지므로 파종직후 라쏘유제 100~200㏄/10a을 살포해 주고 배수를 철저히 해주어야 한다. 배수가 불량한 곳은 고휴(高畦)재배를 할 필요가 있다.

           

  5. 수확 및 건조방법

    가. 수확시기

      가을메밀은 무한신육초형이 대부분이고 여름메밀 양절메밀은 유한신육초형이기 때문에 수확적기를 선택하기가 어렵지 않다. 그러나 너무 일찍 수확하게 되면 녹색을 띄고 있는 미숙립과 수분함량이 많은 종실, 잎, 줄기의 절편들 때문에 종실을 건조, 저장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메밀과실의 75~80% 정도가 까맣게 성숙했을 때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손으로 수확할 수 있는 수확적기에 간단한 집경장치를 붙인 예취기로 수확하면 3~4시간/10a이 소요된다. 대규모재배에서 보통 콤바인으로 수확할 때는 곡립손실도 낮출 수 있고 작업시간도 15~20분/10a 정도로서 대폭적으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파종작업도 대규모(10~20ha) 재배할 때는 트렉터에 연결된 대형 세조파종기가 효율적이다. 소규모재배의 경우나 경사지에서는 경운기부착용 소형 세조파종기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나. 건조방법

      예취 수확후 3~5일 동안 양건하였다가 탈곡, 건조시켜 종실의 수분함량이 12% 내외가 되도록 한다.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때에는 건조기내 온도가 40℃이상이 되지 않도록 조절해 주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6. 고품질 밭작물 재배기술.

농촌진흥청. 1991. 수입개방대응 밭작물 단경기 재배.

농시논문집(전.특작편) 32(1). 1990. 춘파메밀의 재배기술과 생산성.

   

메밀의 재배 역사가 가장 긴 나라는 중국으로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BC 1000년경부터 재배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메밀은 대중적 기호식품이자 야채로서 뿐만 아니라 약용작물로서 오래동안 재배되어 왔다. 메밀은 생육기간이 2~3달로 한국의 산악지대나 고산지역등 다양한 형태의 토양이나 수분과 시원한 기후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pH가 낮고 척박한 토양에서 다른 작물보다 수량이 높다. 메밀의 종실에는 xylose, mannose, galactose, glucuronic acid, arginine, leucine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을, 또 야채로 이용되는 식물체와 종실에는 rutin을 함유하고 있는데, 질소비료는 메밀 종실중의 단백질뿐만 아니라 수량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인자이며 질소비료에 대한 메밀의 반응은 토양중의 질소수준과 토양화학성, 기상조건, 시비량에 따라 달라진다.

           

  1. 메밀의 양분 흡수

    토양의 pH는 메밀재배 전후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EC는 재배전 0.14~0.22ds/m에서 재배후 0.05~0.13dS/m로 크게 낮아졌는데 이것은 가리와 석회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가리와 석회는 재배전보다 큰 폭으로 낮아졌으며 토양중의 가리와 석회의 감소가 EC나 CEC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며 토양중 석회와 가리의 감소는 메밀에 의해 흡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토양중 유기물함량은 재배 전후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CEC는 재배전보다 재배후 약간 낮아졌다.

메밀 식물체중 질소, 인산, 가리, 석회, 고토의 함량은 개화전보다 개화기에 낮아졌는데 이는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토양중에서 이들 성분들의 함량이 낮아질 정도로 메밀에 의해 가리, 석회, 고토의 흡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할지라도 메밀의 생육이 왕성하여 흡수량에 비하여 메밀의 성장속도가 빨라 메밀 식물체내에서 희석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개화후 식물체중의 무기성분함량중 질소는 돈분톱밥+3요소 시용구가 1.88%로 가장 높았고, 인산, 가리, 석회는 석회+3요소 시용구가 각각 1.34, 2.26,1.09%로 높게 나타났다. 외국의 경우 메밀의 수량을 최대로 얻기 위한 메밀 식물체중의 적당한 질소와 인산과의 관계는 메밀의 출현후 10일경 메밀 식물체중의 질소함량은 2.73~2.93%이며 인산은 0.43~0.57%로 설정하고 있다.

  전남지방에서는 개화전(9월 18일) 즉 출현후 40일경의 메밀 식물체중 질소함량이 2.15~2.60%, 인산은 0.8~1.08%로 메밀이 정상적인 수량을 얻은 데 문제가 없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메밀 식물체중의 rutin함량

  Rutin은 Flavonoid계 물질이어서 빛, 온도, 토양환경 등에 영향을 받지만 생육단계 및 식물체 부위에 따라 함량이 다르기 때문에 rutin을 이용하고자 할 때는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해야 하는데, 메밀 식물체중의 rutin함량은 메밀 생육시기별로 개화전보다는 개화후에 많고 줄기보다는 잎에 다량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줄기중의 rutin함량은 개화전보다 개화기에 감소하였다.
  메밀의 rutin함량은 아미노산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나 줄기에서는 감소한다.

표 3. 개화전 식물체중 rutin함량 (단위 : %)

구분

줄기

평균

3요소
석회+3요소
붕사+3요소
돈분톱밥+3요소
혼합유박

3.7
5.8
8.1
6.8
6.4

2.0
2.5
3.6
2.5
3.0

2.9
4.2
5.9
4.7
4.7

표 4. 개화후 메밀 식물체중 rutin함량  (단위 : %)

구분

줄기

평균

 3요소
 석회+3요소
 붕사+3요소
 돈분톱밥+3요소
 혼합유박

  8.8
10.4
11.1
10.9
  9.1

1.5
1.7
2.1
1.9
1.8

6.4
9.8
9.7
6.6
7.6

5.7
7.4
7.6
6.4
6.2

구분

줄기

평균

 3요소
 석회+3요소
 붕사+3요소
 돈분톱밥+3요소
 혼합유박

  8.8
10.4
11.1
10.9
  9.1

1.5
1.7
2.1
1.9
1.8

6.4
9.8
9.7
6.6
7.6

5.7
7.4
7.6
6.4
6.2

3. 지방산

  우리의 식탁에 오르는 나물로 먹을 수 있는 메밀 식물체중에는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포화지방산인 myristic acid, palmitic acid, atachidic acid보다 다량 함유되었고 불포화지방산은 석회+3요소구를 제외하고는 oleic acid보다 linoleic acid가 다량 함유되었다.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 arachidic acid, myristic acid순으로 함유량이 적었다. 토양개량제별 메밀식물중의 지방산 함량은 석회+3요소> 붕사+3요소> 혼합유박 >돈분톱밥+3요소> 3요소 순이었다.

표 5. 메밀 식물체중 지방산 함량

구분

Myristic acid
(14:0)

Palmitic acid
(16:0)

Oleic acid
(18:1)

Linoleic acid
(18:2)

Arachidic acid
(20:0)

3요소
석회+3요소
붕사+3요소
돈분톱밥+3요소
혼합유박

0.07
0.06
0.03
0.06
0.03

2.71
3.56
3.56
2.12
3.47

10.30
12.61
12.70
13.54
12.98

  9.94
  9.90
  9.70
10.60
10.00

0.70
0.67
0.55
0.67
0.65

  메밀종실의 화학적 조성은 품종, 종실의 신선도, 생육지역에 따라 다르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이 각각 116, 1.9, 64.5%이며 지방은 혈중의 혈당을 감소시키고 고혈압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oleic acid와 linoleic로 구성되어 있다. 밀 종실 중의 지방산중 불포화지방산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개화기식물체중의 함량보다 많아졌으나 포화지방산은 작아졌다. 특히 myristic acid는 뚜렷한 감소를 보였다. 종실중의 지방산 조성도 식물체중의 지방산 조성과 마찬가지로 불포화지방산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포화지방산 myristic acid, palmitic acid, arachidic acid보다 많았다. 불포화지방산 중 oleic acid가 linoleic acid보다 많다.

  메밀중의 페놀 화합물은 떫은 맛에 관여하기도 하고 소화효소중 α-amylane와 천화성이 높아 효소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또, 뿌리의 형성 빛 분포에 영향을 미치며 식물의 특유한 색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감염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동시에 떫은 맛, 쓴맛, 신맛 등 식물의 고유의 맛에 관계한다. 한편 메밀중의 phenol은 항산화작용이 있어 항암효과가 제안되고 있다.
  메밀 종실중의 페놀화합물은 982.6~1,822㎎/㎏이며 석회+3요소 처리구가 1,822㎎/㎏으로 많았고, 유박+3요소 처리구는 982.6㎎/㎏으로 가장 적었다.

추출용매별로 추출량은 buthanol >ethylacetate >ether >water >n-hexane 순으로 추출되었다.

4. Tyrosinase 작용저해활성

구리를 가지고 있는 효소의 일종인 alcind와 copper-contain, enzyme 식물이나 동물체내에서 melanine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로서 과일과 채소의 갈변을 촉진하며 신선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상품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를 억제 또는 제거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메밀 종실중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메밀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메밀 종실중의 tyrosinase 활성저해는 관행, 돈분톱밥+3요소, 혼합유박 시용구는 그 정도가 sediment는 b>a>c순이고 compound는 A>B>C순 이었으며 sediment a, b, c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각각 52.60~58.5%, 70.8~78.04%, 29.36~46.31%로 Yamazaki가 보고한 쓴메밀 중의 sediment a, b, c의 tyrosinase 저해활성 72.9, 87.4, 30.8%보다 낮았으며, 또 compound A, B, C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각각 85.18~89.0%, 69.31~74.77%, 21.92~28.33%이다. 석회+3요소 처리구는 sediment a, b와 compound A, B, C의 tyrosinase 저해활성이 관행이나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반면에 sediment c는 tyrosinase 저해활성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붕사+3요소 처리구는 sediment a와 compound b의 tyrosinase 저해활성이 다른 처리보다 낮은 반면 compound c의 tyrosinase 저해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석회가 sediment c의 합성에, 붕사는 compound c의 합성과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sediment a는 sediment c와 compound b는 compound c와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 되었다.

3. 생육 및 수량

  메밀의 초장과 생체중은 석회와 붕사 시용구보다 유박이나 돈분톱밥 시용구가 좋았으나 메밀 종실의 1ℓ중은 석회, 붕사 시용구가 527, 533g으로 다른 처리보다 무거웠으며 수량도 석회, 붕사 시용구가 102.6, 109.2㎏/10a로 다른 처리보다 증수하였다. 메밀에 돈분톱밥만을 시용하면 돈분톱밥으로부터 질소 24%를 회수하며 돈분톱밥과 유안을 동시에 시용하면 39.1~61.8%를 회수한다.
  또 화학비료, 화학비료+돈분톱밥, 돈분톱밥을 시용하면 메밀 수량은 화학비료+돈분톱밥, 화학비료, 돈분톱밥 순으로 감수하며, 붕소와 석회는 결실을 조장하여 수량이 1.4~4배 증수한다.

'나의취미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메밀 8/18  (0) 2006.08.18
새싹채소 종류와 효능  (0) 2006.08.17
메밀 자료정리  (0) 2006.08.17
새싹채소 기르기(펀글)  (0) 2006.08.17
새싹채소 키우기,효능 효과  (0) 2006.08.09